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그릿(GRIT) 내 자식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책

by Book Captain69 2023. 8. 24.

그릿(GRIT)을 읽고, IQ와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것은 열정적인 끈기의 힘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내 자식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책 BEST라고 해도 손색없는 도서이다.

 

그릿, 앤절라 더크워스, 비즈니스북스

그릿-GRIT

요컨대 분야에 상관없이 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고 이는 두 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들은 대단히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결단력이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갈 방향도 알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 점은 열정과 결합된 끈기였다. 한마디로 그들에게는 그릿(grit)이 있었다.(Grit은 사전적으로 투지, 끈기, 불굴의 의지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그래서 저자가 말하는 '열정과 집념이 있는 끈기'라는 그릿의 뜻을 한국어의 한 단어로 명확하게 표현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에서는 그릿이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되, 문맥에 따라 투지와 의지 등으로 번역했다-편집자)

 

버핏은 우선순위를 정하는 단계를 차근차근 설명해주었다.

첫째, 직업상 목표 25개를 쓴다.

둘째, 자신을 성찰해 가면서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 5개에 동그라미를 친다. 반드시 5개만 골라야 한다.

셋째, 동그라미를 치지 않은 20개의 목표를 찬찬히 살핀다. 그 20개는 당신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피해야 할 일이다. 당신의 신경을 분산시키고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고 더 중요한 목표에서 시선을 앗아갈 일이기 때문이다.

 

Frank modell, the New Yorker, July 7, 1962, The New Yorker Collection/ The Cartoon Bank.
출처:Frank modell, the New Yorker, July 7, 1962, The New Yorker Collection/ The Cartoon Bank

매우 다른 상위 수준의 목표들로 활동이 분산되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궁극적인 목표는 단 하나여야 한다.

 

희망은 모든 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상황이 어려울 때나 의심이 들 때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법을 배우려면 맨 처음부터 끝까지 희망을 유지하는 일이 더없이 중요하다.

 

관습, 연습, 목적, 희망의 네 가지 심리적 자산은 상품처럼 가지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거나 둘 중 하나가 아니다. 당신은 관심을 느끼고 발전시키고 심화하는 법을 익힐 수 있다. 훈련을 습관으로 만들 수 있다. 목적의식과 의미를 찾고 발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희망을 가르칠 수 있다.

 

초특급 성공을 거둔 인물 200명 이상을 인터뷰하면서 알게 된 점이 무엇인지 물었다. "인터뷰마다 반복해서 나왔던 한 가지는 '나는 내 일을 사랑한다'는 이야기였어요."

 

어머니, 아버지, 두 분은 언제나 저만의 길을 찾게 허락해 주고 그 길을 가도록 이끌어주셨습니다. 제가 얼마나 감사하게 생각하는지 두 분은 짐작도 못 하실 거예요. 언제나 제 곁에 있어주세요.

 

새로운 것을 배우고 세상을 탐색하며 변화와 다양성을 희구하는 것이 인간의 기본 욕구입니다.

 

우리의 주의를 끄는 것은 새로움 속의 익숙함, 약간의 새로운 변화가 있는 익숙함이다.

 

의식적인 연습의 기본 요건들은 특별할 게 없다.

명료하게 진술된 도적적 목표

완벽한 집중과 노력

즉각적이고 유용한 피드백

반성과 개선을 동반한 반복

 

의식적인 연습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두 번째 비결로 연습을 습관화하라는 제안을 하려고 한다. 가장 먼저 편안하게 의식적인 연습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 파악, 매일 그 시간, 그 장소에서 연습해야 한다. 

 

에이미 브제스니예프스키는 현재의 일에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주어 자신의 핵심 가치와의 연관성을 증대시킬 방법을 생각해 보라고 권한다.

 

"회장님이 리더들에게 기대하는 점은 무엇입니까?" 그가 뭐라고 대답했을까? "능력, 인성, 사람을 대하는 제사입니다." 그는 고위 관리직 사원을 볼 때 두 가지를 자문한다고 말했다. "첫째는, '나 없이 그들에게만 경영을 맡길 수 있는가?', 둘째는 '내 자식들이 그들 밑에서 일한다면 허락하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인생의 진정한 기쁨은 자신이 인정하는 위대한 목표를 위해 살아가는 데 있다.

 

위대한 리더십은 상급자가 하급자를 존경하는 데서 시작된다.

 

내 경험상 일단 분명한 비전을 세우면 절제력과 노력이 발휘되면서 목적을 실현시켜 줄 비전을 유지하게 된다. 이 두 가지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당신은 비전을 세우는 순간 첫 발걸음을 뗀 것이다. 하지만 이를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는 성실성이 있어야 비전을 달성할 수 있다.

 

한줄평

 

매일 싫더라도, 끝까지 해내는 것, 열정이라는 것은 어제 열심히 하고 일주일 쉬고 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열정 있게 하는 순간은 매일 힘들다. 하지만 하기 싫더라도 꾸역꾸역 하는 것이 그릿이 아닐까 생각한다.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는 것이 그릿이 아닐까. 지금부터 성장마인드셋을 키워, 노력과 도전에 의해 나 자신을 성장시키고, 실패하더라도 지속가능한 힘을 기르자. 실패는 끝이 아니다. 다시 시작이다. 나도, 나의 자식들에게도 그릿은 재능과 상관없다. 성장 마인드셋을 키워 꾸준히 지속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자.